1. 무작위의 세계 (The Random Universe)
1959년 이후 폴 에스되르(Paul Erdos)와 알프레드 레니(Alfred Reney)에 의해 기초된 무작위적 네트웍 이론(Random Network Theory). 모든 구성원(node)들이 하나 이상의 링크(link)를 갖는다는 임계문턱(threshold)만 넘는다면 결국 네트워크가 커졌을 때, 모든 노드들은 같은 수의 링크를 갖게 될것이다라는 매우 평균적인 네트워크 개념이다. 하지만 실제(real) 네트워크는 무작위적 네트워크와는 달리 조직원리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게 뭘까?
2. 여섯 단계의 분리 (Six Degrees of Separation)
1929년 프리제시 카린시(Frigyes Karinthy)의 저서 <연쇄(Chains)>에서 언급된 "사람들은 기껏해야 다섯 개의 링크의 연쇄적 친분관계로 연결되어 있다"는 통찰을 1967년 하버드 교수인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이 재발견한 여섯 단계의 분리(Six degrees of separation) 개념. 실험에 의해서 임의의 한쌍의 노드간 거리는 평균 6단계밖에 되지 않는다는 개념. 이 개념을 통해 우리는 단지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짧은 단계로 연결되어진 "좁은 세상(Small World)"에 살고 있다는 인식을 하게 된다.
"여섯 단계의 분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링크
☞ 냥날위키의 "여섯 단계의 분리"
☞ NoSmoke위키의 "Six Degrees Of Separation"
"Small World"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링크
☞ 이명헌의 웹앤비즈 : [e비즈] 스몰-월드 효과
☞ 과학종합미디어 동아시아언스 : "다섯다리" 거치면 세계인이 내친구
☞ [이인식의 과학생각]헛소문이 삽시간에 퍼지는 까닭
☞ Small World Research Project 홈페이지
Network Theory에 관련된 책의 리뷰
☞ 북스조선 : 넥서스(Nexus) 리뷰
☞ 링크(Linked) 에 대한 전문가서평 (hwp 파일)
☞ NoSmoke님의 링크(Linked) 요약
☞ 링크(Linked)의 서평 모음
국내 Network Theory 관련 연구팀
☞ 링크의 저자인 바라바시와 함께 연구했던, KAIST 정하웅 교수 (그의 연구실)
☞ 링크의 번역자 서울대 강병남 교수 (그의 연구실 : Complex Networks Research Lab)
1959년 이후 폴 에스되르(Paul Erdos)와 알프레드 레니(Alfred Reney)에 의해 기초된 무작위적 네트웍 이론(Random Network Theory). 모든 구성원(node)들이 하나 이상의 링크(link)를 갖는다는 임계문턱(threshold)만 넘는다면 결국 네트워크가 커졌을 때, 모든 노드들은 같은 수의 링크를 갖게 될것이다라는 매우 평균적인 네트워크 개념이다. 하지만 실제(real) 네트워크는 무작위적 네트워크와는 달리 조직원리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게 뭘까?
2. 여섯 단계의 분리 (Six Degrees of Separation)
1929년 프리제시 카린시(Frigyes Karinthy)의 저서 <연쇄(Chains)>에서 언급된 "사람들은 기껏해야 다섯 개의 링크의 연쇄적 친분관계로 연결되어 있다"는 통찰을 1967년 하버드 교수인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이 재발견한 여섯 단계의 분리(Six degrees of separation) 개념. 실험에 의해서 임의의 한쌍의 노드간 거리는 평균 6단계밖에 되지 않는다는 개념. 이 개념을 통해 우리는 단지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짧은 단계로 연결되어진 "좁은 세상(Small World)"에 살고 있다는 인식을 하게 된다.
"여섯 단계의 분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링크
☞ 냥날위키의 "여섯 단계의 분리"
☞ NoSmoke위키의 "Six Degrees Of Separation"
"Small World"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링크
☞ 이명헌의 웹앤비즈 : [e비즈] 스몰-월드 효과
☞ 과학종합미디어 동아시아언스 : "다섯다리" 거치면 세계인이 내친구
☞ [이인식의 과학생각]헛소문이 삽시간에 퍼지는 까닭
☞ Small World Research Project 홈페이지
Network Theory에 관련된 책의 리뷰
☞ 북스조선 : 넥서스(Nexus) 리뷰
☞ 링크(Linked) 에 대한 전문가서평 (hwp 파일)
☞ NoSmoke님의 링크(Linked) 요약
☞ 링크(Linked)의 서평 모음
국내 Network Theory 관련 연구팀
☞ 링크의 저자인 바라바시와 함께 연구했던, KAIST 정하웅 교수 (그의 연구실)
☞ 링크의 번역자 서울대 강병남 교수 (그의 연구실 : Complex Networks Research Lab)
덧글
저는 통계물리학에서도 금속내에서 전자(electron)들이 어떻게 움직인다. 뭐 이런걸 주로 연구(사실 공부)했었구요. 지금 보니 이 복잡계(Complex System)도 통계물리학쪽에서 주로 다루고 있네요.
메일을 받고 메일링리스트에 돈을 보내고 리스트의 가장 끝자리 한명을 없애고, 자신을 리스트의 위에 올려놓은다음 메일을 보내는...
그때도 메일주소는 6개였던것 같애요. 연관이 있을까요? -_-a